HDTV이니까 컴퍼넌트 케이블과 그래픽카드에서 출력하기위한 컴퍼넌트케이블이 필요하겠지요?
 
FX나 6800급 제품은 HDTV-OUT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6600이나 6600GT는 지원을 하지만요.
 
이유는 항상 최상의 그래픽카드를 만들고 하위기종으로 만들기때문에 6800이 나왔을때는 HD가 없었답니다.  
 
 
1. 그래픽 카드와 TV와 선을 연결합니다.
    
    =============================>  
 
   
 
   

여기서 잠깐!
 
선을 연결하기 전에 알아두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TV와 연결할때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선을 연결하거나 해제하면 그래픽카드의 TV아웃단자가
고장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부분을 최대한 막기위해서 방법을 알려드릴테니 따라해보세요.
 
켤때
TV & 컴퓨터 off   ===>  케이블 연결   ===>  TV on   ===>  컴퓨터 on
 
끌때
컴퓨터 off  ===>  TV off  ===>  케이블 연결해제
 
 
2.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릅니다.
    그리고 속성을 눌러줍니다.

     
 
 
 
3.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가 나옵니다.
 
    설정탭으로 이동하신후 고급버튼을 눌러줍니다.
 
   
   
 
 
4. 고급으로 들어오시면 각 제품에 해당하는 탭이 생성됩니다.
 
    저는 7800GTX 장착했기때문에 7800GTX라고 뜨네요.  ^^v
 
    여기서 첫 페이지는 해당 시스템의 간단한 정보 및 드라이버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5. 왼쪽의 nView 디스플레이 설정을 누르면 현재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나오게 됩니다.
    지금은 단일 디스플레이라고 되어있으니 하나만 나오죠? ^^  
    단일디스플레이를 누르면 아래 그림과 같이 주루룩 나옵니다.

  
 
 
  
6. 우리는 여기서 복제를 선택합니다.
 
  복제를 선택하면 일반 모니터와 TV 이렇게해서 총 두개의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그러나 HDTV와 연결하면 HDTV라고 뜬답니다. ^^;;;
 
  
 
 
 
   
7. 일반적으로 5번단계까지 하면 화면이 나옵니다.
 
    그러나 화면이 정상적이지 않을 경우 TV출력 포맷이나 제품이 정상적이지 않아서 비정상적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HDTV는 NTSC-M으로 설정되어 있기때문에 첫 화면의 경우 파란색으로 나오게 됩니다.
 
    출력포맷이 정상인지 확인을 위해서 아래와 같이 확인해 봅니다.
 
    화면 해상도 & 재생 빈도를 클릭하시고 PDP나 TFT LCD가 아닌 프로젝션 TV의 경우 화면 재생빈도를
    60Hz로 맞춰주시기 바랍니다.

    (60Hz로 맞춰주는 이유는 TV가 60Hz를 기준으로 주사하기때문에 그이상으로 하게되도 지원은 가능하지만
     TV가 빨리 고장나게 되는 원인이 되어버리게 됩니다.)
 
    하단의 표준 HDTV 포맷 표시에 체크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다음번에 할 작업에서 필요한 출력방식을 보기위해 필요합니다.)
 
  
 
 
 
 
8. 다시 nView 디스플레이 설정으로 오셔서  TV에 마우스 우측버튼으로 클릭하면 TV의 포맷출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자신의 TV가 지원하는 HD나 SD포맷으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자신의 TV가 지원하지 않는데 체크하시면 화면이 안나오거나 이상하게 나올수 있으니 조심하세요.

   
     
 
 
 
9. 그러나 TV출력의 경우 대부분 영상을 감상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기 떄문에 전체화면으로 봐야하겠죠?
 
    좌측의 탭에 전체화면 비디오를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전체 화면 비디오 컨트롤 항목에 전체화면 장치가 있는데 처음에는 비활성화라고 나와있습니다.
 
    이부분을 클릭하면 보조 디스플레이가 나오게 되는데요.
 
    해당부분을 클릭해 줍니다.
 
    그러면 TV화면에 꽉찬 영상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10. 앗.....자막이 안보이신다구요?
 
    음....그렇다면 제일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곰 플레이어를 기준으로 설명해 드릴께요.
 
    곰플레이어를 실행시키시고 마우스 오른쪽버튼으로 곰플레이어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이시죠?
 
    거기서 환경 설정을 클릭해주세요.

  
 
 
 
11. 그러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옵니다.
 
      해당 창에서 자막탭으로 가시면 오버레이 화면에 표시라고 되어있을 겁니다.
 
      거기서 자막표시 방법을 이미지 자체에 표시(TV출력)으로 변경해주시면 됩니다.

  
 

 
12. 아래와 같은 화면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즐거운 영화 만화등 영상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

  
 
  
화질의 차이는
 
컴퍼넌트 > 슈퍼비디오 > 컴퍼지트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11g  (0) 2007.07.13
전정재활운동  (0) 2007.06.21
ATi의 반격 사파이어 Radeon HD2900XT  (0) 2007.06.13

 

제이씨현에서 유통하는 기가바이트사의 VGA의 가장 큰 타사와의 특징은 무소음 쿨러다. 기가바이트만의 이 무소음 쿨러는 지속적인 진보를 해왔고, 근 진보는 계속되고 있지만, 우리가 지금 볼 제품은 현존하는 기가바이트 무소음 쿨러중 가장 진보한 모습을 보여줄 것이다.



< 기가바이트 사이런스 파이프3 지포스8600GTS >

 그것이 바로 기가바이트 지포스 8600 GTS인데 이 제품은 무소음 쿨러뿐만 아니라 지포스 8600 GTS GPU에 대한 속도 제어 역시 소비자에게 일임하고 있다.



 기가바이트사의 지포스 8600GTS의 외형은 기존의 사이런스 파이프 시리즈에 비해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특히 기존의 기술을 계승하면서도 GPU인 엔비디아사의 8600GTS의 발열을 어떻게 하면 좀 더 폭넓게 발산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엿보인다.



 특히 GPU의 발열량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는 고속형 GPU에 탑재되는 쿨러들의 숙명일 수밖에 없는데, 이를 위해서 기존에 쿨러 소음을 감수해야 했던 제품들과 달리, 이 제품은 특수하게 제작된 전도율이 높은 방열판을 발열량이 많은 GPU 및 램 부위에 장착하므로 써 이 열을 고르게 발열하게 만들어졌다.





 사이런스 파이프 시리즈의 기본적인 방식은 공냉식이다. 이는 기존에 제품들이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알루미늄재질의 방열판탑재에서 보다 더 진보해 PC 뒤편의 공기가 내부에 장착된 그래픽카드에서 발열되는 공기보다 상당히 뜨겁다는 것에 착안해서 PC 뒤편에 돌출되는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유입해 이는 방열판의 뜨거워진 공기와 만나게 해 공기를 유도해 식히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있다.



 그럼 실제로 조용할까? 위에는 필자가 사용하는 ATi사의 그래픽카드로 구매시 상당히 고가에 구매한 제품이다. 팬이 달린 제품이 팬이 없는 제품과 비교해 조용하다는 소비자를 못 보았으니 조용한 것은 사실이고, 테스트하는 동안 오픈된 케이스 내에서 사이런스 파이프3가 장착된 이 제품의 방열판에 손을 대보면 무척이나 뜨거운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만큼 전도율이 좋다는 뜻이고 케이스가 닫쳐있는 상태에서라면 충실하게 쿨러 역할을 다 할 것으로 보인다.



 요즘 기가바이트의 제품에 화두는 안정적인 전원공급인 것 같다. 메인보드도 그러하지만, 이 제품에도 캔-타입 캐피시터와 차폐형 초크코일을 적용해 보다 더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고 여기서 발열되는 열 역시 모두 사이런스 파이프3 쿨러에 의해 전도되어 식혀지게 된다. 밑에 설명하겠지만, 이 제품에는 엔비디아사의 8600GTS칩셋이 탑재되어 있다. 현재 발매된 8000대 시리즈중 8800을 제외하고 중급 및 보급형 8000시리즈중 가장 포퍼먼스가 높은 GPU이며, GDDR3 램을 채택해 8600GTS에 걸맞은 전송속도를 가지도록 구성되었다.





 이 제품에 악세사리로는 두 개의 DVI to D-sub 어뎁터와 한 개의 통합케이블이 공급된다. 이 통합케이블은 AV출력 및 HDTV 출력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그래픽카드에 직접 연결해 여러 케이블 교체가 필요한 소비자에겐 교체가 간편하기 때문에 편리하다.



< GIGA  제품 정보 >



< 비스타 울티밋 K에서의 체험지수 >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 비스타 얼티밋 K에 제품의 탑재하고 본 체험지수와 드라이버정보는 이 제품을 왜 비스타에서 사용해야 하는지 알려준다. 기존에 필자가 사용하고 있는 그래픽카드는 이정도의 스코어를 가지지 못했다. 또한 이 제품이 가지는 놀라운 기능을 하나를 소개한다.



< Giga V-Tuner 3 >

 드라이버시디에 함께 있는 ‘기가바이트 유틸리티’를 설치하면 ‘V-Tuner3'를 사용할 수 있다. 기존에 레퍼런스급으로 출고된 이 제품을 ‘V-Tuner3'를 통해 적정한 수치까지 오버클럭킹해서 사용이 가능하다. 단, 무리하게 오버클럭킹해서 발생하는 문제는 소비자가 PC를 A/S가 완료될때가지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으로 돌아 올 수 있다는 점은 반드시 상기해야 한다. 또한, Auto-Optimized를 사용하면, 2D 및 3D에 클럭수를 유저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자동으로 감지해 올려주거나 내려주기 때문에 사용에 편리함을 더 할 수 있는데, 이는 코어가 올라가면 발열량도 올라가기 때문에 상당히 유용하다.



<IMG_0005>

 제이씨현에서 유통하는 사이런스 파이프3 무소음 쿨러를 장착한 기가바이트 8600GTS는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는 고가의 그래픽카드와 비교해 기능이나 성능면에서 많은 부분을 소비자의 선택에 우선권을 준 제품이다. 특히 어렵지 않게 구성된 오버클럭킹 옵션은 그 상태까지 확인이 가능해 상당히 유용하다. 또한, 그래픽카드 쿨러 소음으로부터의 해방이란 점은 PC에서 나는 3대소음 즉, CPU, GPU, 케이스 팬중 한 개에서의 소음에서 해방시켜준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거기에 그 누구도 복제할 수 없는 기가바이트만이 가지고 있는 무소음 쿨러로써의 기능은 제대로 구현된 이 제품에 품격이나 격을 높여준다.

 만약 잘만쿨러에 질리고 소음에 질렸다면 제이씨현의 기가바이트 사이런스 파이프3 쿨러를 탑재한 8600GTS는 가장 적절한 선택이 아닐까 싶다.

 

Geforce 7300gs - 램댁 400 64비트 266(533) 256MB 코어550 4픽셀파이프라인
Geforce 6600gt - 램댁 400 128비트 450(900) 128램 코어500 8픽셀,3버텍스 파이프라인

0. 인터페이스
메인보드에 그래픽카드를 끼우는 방식(규격)을 말합니다.

4가지 방식(PCI, AGP, PCI-Express, USB)이 있으며, 메인보드와 같은 방식을 구매하시면 됩니다.
현제 가장 대중적인 방식은 AGP입니다.

1. GPU(Geforce,Radeon)
그래픽카드에 CPU이며 계산능력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숫자가 높을수록 좋으며, 제조회사들의 숫자와는 무관합니다.

GeForce
  5200 < 6600gt < 7300gs < 7600
Radeon
  9550 < x700 < x900 < x1900


2. 코어속도

GPU 속도 를 위미합니다.


3. 픽셀 렌더링 파이프라인 = (
픽셀)파이프라인

픽셀파이프라인이란 픽셀과 픽셀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파이프수가 많을 수록 구현할 수 있는 것도 많아집니다.

버텍스 파이프라인은 버텍스 셰이더라는 명령어 처리 엔진을 말하며,

셰이더 명령어를 통해 짜여진 화면은 구성시  많을 수록 이미지에 큰 영향을 주게됩니다.


4. 메모리 버스

GPU에서 처리되는 테이터들의 전송량을 뜻합니다.


*참고*

우선순위

픽셀파이프라인 > 비트 > GPU > 램 > 코어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첫 개인 위키 서비스 스프링노트  (0) 2007.03.23
PC를 청소해보자  (0) 2007.03.03
IE7.0에 맞게 돌아온 아토 2.0  (0) 2007.02.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