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사용하다 보면 PC 에서 로그인을 진행하여 서류제출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이때 진행과정에서 msvcr100.dll 관련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원인은 공인인증서 관련 프로그램은 32bit 가 설치되고 사용중인 pc가 64 비트인 경우~ 발생한다~!

 

이 경우 간단하게 특정 프로그램만 32bit 프로그램으로 설치해주면 해결가능하다.~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뜨는 프로그램 vcredist_x86.exe 를 설치해주면~ 끝~!

 

https://www.microsoft.com/ko-kr/download/confirmation.aspx?id=26999

 

 

 

2015년 9월 3일 현재 Chrome/45.0.2454.85 로 업데이트 된 크롬에서는 NPAPI 옵션 자체가 사라졌다 ;;



------------------------------------------------------------------------------------

------------------------------------------------------------------------------------



최근 크롬 42 버전 업데이트이후 국내 여러 서비스 에서 크롬에서 실행이 불가능한 상태에 빠졌다~!


exe 형태의 플러그인 파일이 설치되어있지 않다며 무한 설치 요구를 하는 상황이 벌어진거다!





각종 쇼핑몰 부터 서비스 사이트에서 동일한 문제들이 다수 발생 하고 있다


이유는 플러그인 실행을 돕는 NAAPI  옵션이 9월경 에 완전히 제거될 예정인데~!


그 선 작업으로 우선 기본 설정을 꺼버린(disable) 이유인듯 하다~


즉, 당장 쓰려면 꺼진 설정을 켜줘야 사용이 가능하겠다~




[해결방법]


1 . 크롬 주소 창에 


Chrome://flags/#enable-npapi 


를 복사해서 붙여넣고 엔터! ( 크롬 실험실용 기능 옵션 설정 하기 모드 )


2. 크롬 설정창 에서 다른 설정은 절대 건드리지 말고~ NPAPI사용 이라고 된 부분에 사용 을 클릭하고 하단에 생기는 크롬 재시작 버튼을 클릭해준다.


혹시 다른 설정을 조작한경우 우측상단의 기본값으로 재설정 한뒤 동일하게 크롬 재시작 해준다.







3. 크롬이 재시작된뒤 다시 열리면 적용 완료~ NPAPI사용 처리 후에도 플러그인이 뜨지않거나 기타외의 이유로 플러그인 작동하지 않는다면, 플러그인 허용 설정부분을 확인해본다.


아래 그림처럼 크롬 주소창에 


chrome://plugins 


를 붙어넣으면 확인 할수 있다.


아래 그림에 나오는 화면처럼 나온다면 차단된 플러그인이 없다는 의미~ 하지만 사용중지 가 아닌 사용 링크가 보인다면 차단된 플러그인 이므로 사용 을 클릭하여 차단을 해제 해준다.




 

codeigniter 2.X 대 에서 IE 9 에서 세션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버그


다른 브라우져에서는 문제가 없는데, IE9 에서 세션 쿠키 명에 언더바를 지원하지 않는다.



/application/config.php 파일에서 세션 이름을 변경해주면 해결 가능~!


$config['sess_cookie_name'] = 'XXX_XXXXX';

위처럼 되어있는것을 아래 처럼 _ 를 제거한 형태로 변경해주면 해결가능

$config['sess_cookie_name']  = 'XXXXXXXX';


 

크롬 사용중에 사이트가 잘 뜨지 않고 스타일이 깨지는 현상들이 발생했다


net::ERR_CACHE_READ_FAILURE





[해결방법]


1. 크롬 설정 진입




인터넷 사용정보 삭제 클릭


2. 크롬 임시파일을 모두 삭제한다.




이렇게 해도 해결이 안된다면!


3. 크롬 설정 에서 아래쪽에 고급 설정 표시 클릭


4. 맨 하단의 [설정초기화] 클릭 !!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웹 테스트  (0) 2015.08.11
Asus setup Log.iniis lost 오류 해결법  (0) 2014.08.29
광고창이 자꾸 뜰때  (0) 2014.07.29

 

크롬 업데이트는 크롬 화면 우측의 삼선 아이콘 클릭후 설정 메뉴를 통해 진입하면 아래와 같은 정보 탭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하위 버전인경우 아래와 같이 업데이트 체크를 통해 최신버전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문제는 크롬 캐쉬 관련된 버그로 사이트들이 마구잡이로 깨져서 40.0.2214.94 로 업데이트!!


업데이트 전에는 유튜브 를 비롯 몇몇 특정사이트에서 캐쉬 관련 오류가 발생했었고 최근에는 대부분에 사이트에서 오류가 발생!(css 관련) 


어쨌든 업데이트후 해당 문제는 나오지 않고 있다



 

윈도우 7 이상 이면

 

제어판\모든 제어판 항목\관리 도구

 

에서 작업 스케쥴을 실행 한뒤

 

asus 항목을 찾아 i-setup  내용을 모두 선택하고 사용 안함 처리 해주면

 

해결 가능!!

 

MS14-045: 커널 모드 드라이버용 보안 업데이트에 대한 설명: 2014년 8월 12일

 

윈도우7 64bit 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듯 하네요.

 

심하면 블루 스크린에... 부팅까지 안되고, 마소에서 직접 삭제 권고까지 할 정도니...

 

 

 

Microsoft는 보안 공지 MS14-045를 발표했습니다. 이 보안 공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십시오.

이 보안 업데이트에 대한 도움말 및 지원을 받는 방법

업데이트 설치 도움말: Microsoft Update 지원



IT 전문가용 보안 솔루션: TechNet 보안 문제 해결 및 지원



Windows 기반 컴퓨터 Windows를 바이러스 및 맬웨어로부터 보호: 바이러스 솔루션 및 보안 센터



지역별 지원 정보: 국가별 지원

 

 

 

이 보안 업데이트의 알려진 문제

  • 알려진 문제 1
    이 보안 업데이트를 설치한 후 기본 글꼴 디렉터리(%windir%\fonts\)가 아닌 위치에 설치된 글꼴을 활성 세션에 로드하는 경우 이 글꼴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글꼴을 변경, 대체 또는 삭제하려는 시도가 차단되고, "사용 중인 파일"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Microsoft 웹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글꼴 설치 및 삭제
    AddFontResource 함수
    AddFontResourceEx 함수
    RemoveFontResource 함수
    RemoveFontResourceEx 함수


  • 알려진 문제 2
    Microsoft는 다음 업데이트를 설치한 후 글꼴이 제대로 렌더링되지 않는 문제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2982791 MS14-045: 커널 모드 드라이버용 보안 업데이트에 대한 설명: 2014년 8월 12일
    2970228 Windows에서 러시아 루블에 대한 새로운 통화 기호를 지원하기 위한 업데이트 (영어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2975719 Windows RT 8.1, Windows 8.1 및 Windows Server 2012 R2에 대한 2014년 8월 업데이트 롤업
    2975331 Windows RT, Windows 8 및 Windows Server 2012에 대한 2014년 8월 업데이트 롤업
    상태
    이러한 문제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해당 업데이트에 대한 다운로드 링크를 제거했습니다.

    완화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및 기능 항목을 열고 설치된 업데이트 보기를 클릭합니다. 다음 중 현재 설치된 업데이트를 모두 찾아 제거합니다.
    • KB2982791
    • KB2970228
    • KB2975719
    • KB2975331
  • 알려진 문제 3
    Microsoft는 다음 업데이트를 설치한 후 0x50 중지 오류 메시지(버그 확인)가 표시되고 시스템 작동이 중단될 수 있는 문제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2982791 MS14-045: 커널 모드 드라이버용 보안 업데이트에 대한 설명: 2014년 8월 12일
    2970228 Windows에서 러시아 루블에 대한 새로운 통화 기호를 지원하기 위한 업데이트 (영어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2975719 Windows RT 8.1, Windows 8.1 및 Windows Server 2012 R2에 대한 2014년 8월 업데이트 롤업
    2975331 Windows RT, Windows 8 및 Windows Server 2012에 대한 2014년 8월 업데이트 롤업
    이 조건은 영구적일 수 있으며 시스템이 제대로 시작되지 못하게 할 수 있습니다.

    상태
    이러한 문제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해당 업데이트에 대한 다운로드 링크를 제거했습니다.

    완화
    1. 안전 모드에서 컴퓨터를 다시 시작합니다.
      • Windows 7
      • Windows 8 및 Windows 8.1:
        1. Windows 8.1용 설치 미디어(예: DVD 또는 USB)가 있는 경우 설치 미디어를 사용하여 컴퓨터를 시작합니다. DVD 또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넣고 컴퓨터를 다시 시작합니다. "DVD에서 부팅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와 같은 메시지가 표시되면 다음을 수행하십시오. 이러한 메시지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컴퓨터가 DVD 또는 USB로 먼저 시작되도록 컴퓨터의 BIOS 설정에서 다시 시작 순서를 변경해야 할 수 있습니다. Windows 설치 페이지가 표시되면 컴퓨터 복구를 클릭하여 Windows 복구 환경을 시작해야 합니다.
        2. 미디어가 없는 경우 전원 단추를 사용하여 시작 프로세스 중에 컴퓨터를 세 번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그러면 Windows 복구 환경이 시작되어야 합니다.
        3. 컴퓨터가 Windows 복구 환경에서 시작되자마자 옵션 선택 화면에서 문제 해결을 탭하거나 클릭합니다. 시작 설정 옵션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 고급 옵션을 탭하거나 클릭합니다.
        4. 시작 설정을 탭하거나 클릭한 다음 다시 시작을 탭하거나 클릭합니다.
        5. 시작 설정 화면에서 원하는 시작 설정을 선택합니다. (안전 모드는 4를 누릅니다.)
        6. 관리자 권한이 있는 사용자 계정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로그인합니다.
    2. fntcache.dat 파일을 삭제합니다. 이렇게 하려면 명령 프롬프트 에서 다음 명령을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del %windir%\system32\fntcache.dat
    3. fntcache.dat를 삭제한 후 컴퓨터를 다시 시작합니다. 이제 컴퓨터가 시작되어야 합니다.
    4. 시작, 실행을 차례로 클릭하고 열기 상자에 regedit를 입력한 다음 확인을 클릭합니다.
    5. 레지스트리에서 다음 하위 키를 찾아 클릭합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Fonts\ 
    6. Fonts 레지스트리 하위 키를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클릭한 다음 내보내기를 클릭합니다.
    7. 내보낸 reg 파일에 대한 이름을 입력하고 이 파일을 저장할 위치를 선택합니다. 나중에 이 파일을 사용하여 다음 단계에서 제거되는 글꼴 등록을 복원합니다.
    8. reg 파일을 저장한 후 Fonts 레지스트리 하위 키 아래에서 다음 조건을 충족하는 데이터 필드에 대한 레지스트리 값을 찾습니다.
      • 파일 이름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전체 파일 경로가 포함됨
      • 전체 파일 경로가 ".otf" 확장명으로 끝납니다. (이 확장명은 OpenType 글꼴 파일을 나타냅니다.) 
        그림 축소그림 확대
        OpenType 글꼴 파일
        그림 확대를 위해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9. fntcache.dat 파일을 다시 삭제합니다. (그러면 이 파일이 다시 만들어집니다.) 이렇게 하려면 명령 프롬프트에서 다음 명령을 입력한 다음 Enter 키를 누릅니다.
      del %windir%\system32\fntcache.dat
    10.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및 기능 항목을 열고 설치된 업데이트 보기를 클릭합니다. 다음 중 현재 설치된 업데이트를 모두 찾아 제거합니다.
      • KB2982791
      • KB2970228
      • KB2975719
      • KB2975331
    11. 컴퓨터를 다시 시작합니다.
    12. 앞서 저장한 reg 파일을 찾고 이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클릭한 다음 병합을 클릭하여 이전에 제거한 글꼴 레지스트리 값을 복원합니다.

      참고 문제가 되는 업데이트가 제거되었으므로 해당 레지스트리 값을 안전하게 다시 추가할 수 있습니다. 

 

 

기술 자료: 2982791 - 마지막 검토: 2014년 8월 19일 화요일 - 수정: 3.0
본 문서의 정보는 다음의 제품에 적용됩니다.
  • Windows Server 2012 R2 Datacenter
  • Windows Server 2012 R2 Standard
  • Windows Server 2012 R2 Essentials
  • Windows Server 2012 R2 Foundation
  • Windows 8.1 Enterprise
  • Windows 8.1 Pro
  • Windows 8.1
  • Windows RT 8.1
  • Windows Server 2012 Datacenter
  • Windows Server 2012 Standard
  • Windows Server 2012 Essentials
  • Windows Server 2012 Foundation
  • Windows 8 Enterprise
  • Windows 8 Pro
  • Windows 8
  • Windows RT
  • Windows Server 2008 R2 Service Pack 1 을(를) 다음과 함께 사용했을 때
    • Windows Server 2008 R2 Datacenter
    • Windows Server 2008 R2 Enterprise
    • Windows Server 2008 R2 Standard
    • Windows Web Server 2008 R2
    • Windows Server 2008 R2 Foundation
  • Windows 7 Service Pack 1 을(를) 다음과 함께 사용했을 때
    • Windows 7 Ultimate
    • Windows 7 Enterprise
    • Windows 7 Professional
    • Windows 7 Home Premium
    • Windows 7 Home Basic
    • Windows 7 Starter
  • Windows Server 2008 Service Pack 2 을(를) 다음과 함께 사용했을 때
    • Windows Server 2008 Datacenter
    • Windows Server 2008 Enterprise
    • Windows Server 2008 Standard
    • Windows Web Server 2008
    • Windows Server 2008 Foundation
    • Windows Server 2008 for Itanium-Based Systems
  • Windows Vista Service Pack 2 을(를) 다음과 함께 사용했을 때
    • Windows Vista Ultimate
    • Windows Vista Enterprise
    • Windows Vista Business
    • Windows Vista Home Premium
    • Windows Vista Home Basic
    • Windows Vista Starter
  •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Service Pack 2 을(를) 다음과 함께 사용했을 때
    •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Datacenter Edition (32-bit x86)
    •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Enterprise Edition (32-bit x86)
    •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Standard Edition (32-bit x86)
    •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Web Edition
    •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Datacenter x64 Edition
    •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Enterprise x64 Edition
    •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Standard x64 Edition
    •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Datacenter Edition for Itanium-Based Systems
    •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Enterprise Edition for Itanium-based Systems
키워드: 
atdownload kbbug kbexpertiseinter kbfix kbsecbulletin kbsecurity kbsecvulnerability KB2982791

 

 

이동디스크 계열의 경우 잦은 장치 제거로 인식불량의 상태에 이르게 될때도 부지기수이다

 

특히 블랙박스의 경우 저장중 잦은 강제종료등의 원인으로 (결국 따지고보면 블랙박스 제조업체의 문제인가...)

 

여하튼 메모리카드 먹통 해결방법~!

 

 

1 .윈도우키 + r 키 를 눌러 실행창을 열고~ (윈7 이라면 윈도우 아이콘 누르고 바로 보이는 검색창에서 검색해도 무방

 

diskpart 를 입력하고 실행~!

 

실행하면~ 도스 창이 열리고 만약 인식 불가 메모리카드가 꼽혀있다면 첫 로딩조차도 조금 시간이 걸릴것이다

 

참고 기다려준다...

 

 

2. 기다리면 아래에서 보는것처럼 DISKPART> 에서 커서가 깜박 거리고 있을것이다.

 

이때 list disk 입력 후 엔터~!

 

 

자신의 pc에 있는 저장장치의 목록이 나올것이다

 

이때 반드시 정확히 자신이 포맷을 목표로하는 디스크를 잘 판단해야한다

 

필자의 경우 120G ssd 가 달린 pc 에 문제의 32G 메모리카드만 꽂혀있는 상태

 

- 여기선 29GB로 표시된 디스크3

 

정말 어느건지 모르겟다 싶다면 해당 상황을 일단 촬영 혹은기록해두고 창을 닫는다.

 

이후 해당 장치 제거후 다시 위의 1번 과정을 재실행해서 비교 하여 디스크 번호를 정확히 인지 한다!!

 

4. 이제 해당 기기의 문제 상황을 해결해보자. 일단 해당 디스크를 선택 해야한다. (뭘 수정할지 이놈한테 알려주는거다)

 

select disk 디스크번호  

 

필자의 경우 disk 3 이 대상이므로 아래와같이 선택

 

선택후 해당 디스크 구조 정리~!! 복구불가하니 주의 (디스크에서 구성정보 또는 모든정보를 삭제하고 디스크를 닫는다).

 

clean 입력후 엔터

 

 

 

5. 이제 정리가 됬으니~ 다시 메모리카드를 활성화 해보자

 

아래의 내용처럼 3가지 명령을 차례대로 실행 해보자

 

Create partition primary

 

Active

 

Assign

 

위 3개의 명령을 실행 완료하면 마지막에 디스크 포맷 관련 실행 팝업이 뜬다.

 

 

 

 

포맷 완료 가 되었다면 문제는 해결!!

 

아래는 diskpart 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 목록

 

 

 

 

 

jqueryUI tab 안에 구글 맵을 삽입하면 이상하게도 가로 사이즈가 특정 부분부터 짤려서 늘어나질 않는다 -ㅅ-;;;

원인은 맵 초기화 함수의 호출 위치~!

보통 body onload 나 $(function(){}); 안에 위치시키는 구글맵 초기화 함수를

tab load 혹은 show 되어 질때 호출 하면 문제는 깔끔하게 해결된다.


[code]
$("#google-map-tab").tabs({
    show: function(event, ui) {
   google_map_initialize(); //map initialize   
    }
});
[/code]

참조 :

Google Maps JavaScript API V3 : 데스크톱 및 휴대기기용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솔루션
http://code.google.com/intl/ko-KR/apis/maps/documentation/javascript/

jQueryUI : jquery ui
http://jqueryui.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