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는 ARP 스푸핑과 SQL Injection의 공격방법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이에따라 한국정보보호진흥원(이하 KISA)는 이달 초 ARP Poisoning [Spoofing] 악성코드 감염사고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 외에도 KISA에서는 매년 'ARP 스푸핑'을 이용한 공격 사례와 대책 방법의 보고서를 발표해 왔다. ARP 스푸핑 공격이 증가함에따라 KISA의 해킹 분석 및 대책 보고서를 찾는 사람들이 부쩍 늘고 있다.


한국정보보호진흥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ARP Spoofing 공격'은 로컬 네트워크(LAN)에서 사용하는 ARP 프로토콜의 허점을 이용하여 자신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다른 컴퓨터의 MAC인 것처럼 속이는 공격이며, ARP Cache 정보를 임의로 바꾼다고 하여 "ARP Cache Poisoning 공격" 이라고도 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출처: KISA 07년 6월 ARP Spoofing 공격 분석 및 대책 보고서 中>


이러한 해킹 방법은 기존에도 있던 방법으로 공격 횟수가 줄어들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그 방법이나 공격형태가 점점 발전하고 있다.


심지어 이번에 발견된 악성코드는 공격대상 범위가 로컬 네트워크(LAN)를 넘어 USB 이동저장 장치 및 네트워크 공유를 통한 전파기능도 구현하고 있어 타 네트워크로 감염범위를 넓힐 수 있다고 했다.


                    <출처 : KISA 08년 7월 ARP Spoofing 보고서>


'ARP 스푸핑'으로 인한 공격으로 최신 보안패치와 안티바이러스 등 보안관리를 잘 하고 있는 사용자라 할지라도 ARP 스푸핑에 감염된 네트워크에 있을 경우 쉽게 데이터가 유출되거나 변조 될 수도 있다.


감염된 네트워크에 있는 네트워크의 속도는 느려지게 되며 ARP 테이블을 변조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변조한 다량의 ARP 패킷이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와 같은 개인정보를 유출하게 되며, 심지어는 금융기관 등을 사칭하는 피싱 또는 파밍 공격에도 사용되어 개인의 금전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고 전한다.


이처럼 ARP Spoofing 공격은 다양하게 악용가능하고 피해도 심각하지만 공격에 대한 탐지와 대응은 쉽지 않다.


ARP Spoofing의 공격대상은 자신의 시스템이 직접 당한 것이 아니므로 피해 사실조차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사용자들 및 네트워크 관리자들은 ARP Spoofing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KISA에서 내놓은 방법을 숙지해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참고>

KISA에서 발표한 ARP Spoofing 공격 분석 및 대책 보고서


[KrCERT/CC 2008.07 - ARP Poisoning [Spoofing] 악성코드 감염사고 분석]

http://www.krcert.or.kr/unimDocsDownload.do?fileName1=ARP%20Poisoning.pdf&docNo=TR2008005&docKind=2


[KrCERT/CC 2007.06 - ARP Spoofing 공격 분석 및 대책]

http://www.krcert.or.kr/unimDocsDownload.do?fileName1=TR20070704_ARP_Spoofing.pdf&docNo=TR2007001&docKind=2


[KrCERT/CC 2007.02 - ARP Spoofing 기법 이용 웹페이지 악성코드 삽입사례]

http://www.krcert.or.kr/unimDocsDownload.do?fileName1=IN2007003.pdf&docNo=IN2007003&docKind=3


출처 : 보안뉴스(20080723)

'퍼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sten  (0) 2008.08.26
DO YOU KNOW?  (0) 2008.07.18
DIABLO3  (0) 2008.07.02

 

MS, SQL Injection 취약점 분석 도구 발표
ASP를 통한 SQL Injection 공격 줄어들 전망
ASP 취약점 코드 수정 요망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는 지난 6월 24일 ASP 코드에서 SQL Injection 공격 취약점을 찾을 수 있는 도구를 발표했다. 이는 최근 SQL Injection에 따른 다량의 악성코드가 배포됨에 따른 마이크로스프트의 강력한 대응방법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웹 서버 IIS(Internet Infomation Service)에 사용되는 ASP를 이용한 공격이 줄어 들 것으로 예상된다.
Mass SQL Injection이란 MS-SQL의 취약점을 공격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ASP가 사용중인 IIS를 주 타깃으로 대량 공격하고 있다. 취약점이 있는 MS-SQL 서버의 테이블 중 varchar 컬럼인 것만 노려서 악성스크립트를 삽입하므로 취약점 코드의 빠른 수정이 요구된다. 

Mass SQL Injection 공격쿼리 형태 (MS-SQL)

위와 같은 Varchar 컬럼의 게시물을 변조함으로써 악성코드가 삽입되어 2차, 3차 연이은 공격에 사용된다.


http://support.microsoft.com/kb/954476



이 도구는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FamilyId=58A7C46E-A599-4FCB-9AB4-A4334146B6BA (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FamilyId=58A7C46E-A599-4FCB-9AB4-A4334146B6BA)


ASP 코드의 SQL 삽입 공격 문제

ASP 코드의 Request.Form 또는 Request.Querystring 컬렉션에서 사용자가 제공한 데이터가 데이터 유효성 검사 없이 동적 SQL 문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경우 공격자가 SQL 명령을 SQL 문에 삽입하고 악용할 수 있다. 이를 일반적으로 1차 SQL 삽입 공격 취약점이라고 한다. 


한 ASP 페이지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입력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다음 다른 ASP 페이지에서 동적 SQL 문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경우 공격자가 SQL 명령을 SQL 문에 삽입하고 악용할 수 있다. 이를 일반적으로 2차 SQL 삽입 공격 취약점이라고 한다. 


이러한 취약점을 줄이려면 매개 변수가 있는 SQL 쿼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ASP의 SQL 삽입 공격 취약점과 이러한 취약점을 줄이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Microsoft 웹 사이트를 참조하면 된다.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cc676512.aspx(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cc676512.aspx)(영문)


Microsoft Source Code Analyzer for SQL Injection 도구는 이러한 문제 중 일부를 자동으로 찾는 데 도움이 된다.


출처 : 보안뉴스(2008-07-07)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nyericsson 의 블루투스 디지털액자  (0) 2008.10.29
AI Robot Technology  (0) 2008.06.04
Microsoft Baseline Security Analyzer  (0) 2008.06.02

 

+ Recent posts